역사학241 [프랑스]#7 백년전쟁 마무리 및 영국의 장궁에 관해 백년전쟁 마무리 20세기 초, 로마 교회는 잔 다르크를 '성녀'로 추대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꽃다운 스무 살에 억울한 누명을 쓰고 화형 당한 소녀에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다. 짧았지만 더할 나위 없이 찬란한 삶을 살며 조국인 프랑스를 지키고 프랑스에 배신당한 잔 다르크는 자신의 목숨을 영원한 명예와 맞바꾸었다. 당시 판사는 그녀에게 국왕의 대관식에서 왜 전장의 깃발을 올렸는지 물었다. 잔 다르크는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공이 있는 사람이 그 영광을 누리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이 말은 대단히 상징적이다. 왜냐하면, 지금까지도 그녀의 영광이 바로 프랑스의 명예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프랑스인들에게 잔 다르크는 영원히 죽지 않는, 불멸의 존재이다. 잔 다르크의 가치에 대해서는 프랑스인보다 영.. 2025. 4. 8. [프랑스]#6 백년전쟁, 프랑스의 영웅 잔 다르크의 최후 오를레앙의 소녀 잔 다르크, 프랑스를 해방하다 1429년 4월 27일, 궁지에 몰린 샤를 7세는 잔 다르크를 총사령관으로 임명하고 말과 갑옷, 투구를 하사했다. 잔 다르크는 '예수 마리아'라고 쓰인 깃발을 들고, 3,000~4,000명의 병사들을 이끌고 오를레앙으로 진군했다. 잔 다르크는 삼엄한 포위를 뚫고 군량과 무기 등의 물자를 싣고 오를레앙으로 갔다. 그들이 도착하자 그곳에 있던 군인들의 사기가 되살아났다. 잔 다르크는 영국군에 편지를 보내 영국으로 철수할 것을 권하며, 그렇지 않으면 끝까지 프랑스와 피 흘리는 전투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하지만 영국군은 처음부터 고국으로 돌아갈 마음은 없었다. 따라서 잔 다르크는 직접 부대 선두에 서서 돌격을 감행했고, 부상에도 불구하고 공격을 멈추지 않.. 2025. 4. 7. [프랑스]#5 백년전쟁, 프랑스의 구세주 잔 다르크의 등장 아쟁쿠르 전투, 프랑스의 패배 1415년, 오를레앙과 부르고뉴파의 세력 다툼으로 프랑스가 분열된 틈을 타서 영국 국왕인 헨리 5세는 6,000명의 군사를 이끌고 프랑스를 공격했다. 이들의 군사는 1,000명의 보병과 기병 5,000명의 장궁병으로 조직되었다. 이때 프랑스는 군대는 3만 명을 넘는 규모긴 하였지만, 이 전투에서 다시 영국 장궁병들은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통계에 따르면, 프랑스 병사가 돌진할 때마다 영국 장궁병 한 명이 쏘는 화살은 다섯 발이었다. 그렇다면 한 사람이 다섯 번만 쏘아도 5,000명의 장궁병이 쏜 화살은 2만 5,000발이 된다. 아쟁쿠르 전투(1415)에서 프랑스 병사들이 몇 번을 돌진했는지에 대해서는 관련 자료가 없기 때문에 화살의 숫자를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후세 .. 2025. 4. 6. [프랑스]#4 흑사병과 그 이후 분열되어 가는 프랑스 자크리의 난 이후 분열되는 프랑스 자크리의 난보다 더 큰 문제는 국왕이 귀족들의 포로나 다름없는 처지로 전락한 것이었다. 이는 귀족들의 시대가 도래했음을 의미했다. 한때 타격을 받았던 귀족들의 세력은 다시 살아났고, 서로 힘을 합침으로써 그 세력이 더욱 강해졌다. 이로써 천신만고 끝에 하나가 되었던 프랑스는 다시 사분오열의 길을 걷게 되었다. 큰 위기에 봉착한 샤를 5세는 나라를 다스리는 데 온 힘을 쏟았다. 세수를 정리하고 포병을 조직했을 뿐 아니라 군사지도자 게클랭을 프랑스군 지휘관으로 임명하여 영국을 공격했다. 이때 흑세자 에드워드는 병세가 심각하여 전쟁에 참여할 수 없었다. 반면, 게클랭은 큰 승리를 거두었다. 1370년대에 영국이 프랑스에 몇 곳의 항구를 건설한 것에 자극받아 프랑스는 국가 부흥.. 2024. 12. 11. 이전 1 2 3 4 ··· 61 다음